평택시청 이전부지 활용 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적 제언
페이지 정보
본문

▲최원용 더불어평택미래연구소 소장
평택시의 당면 과제 중 하나는 고덕국제신도시로의 시청 이전이다. 고덕동 주민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시청이 하루빨리 이전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자주 듣는다.
이는 단순한 기대가 아니라,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입지로 생활환경이 급격히 변했음에도 기반시설이 부족한 현실에서, 시청 이전이 지역 발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당연한 기대감이다.
평택시 발표에 따르면 약 3,500억 원을 투입해 2027년 하반기 이전을 완료하겠다고 밝혔지만, 필자의 생각으로는예산 문제 등을 고려해보면 현실적으로 그 시점까지 마무리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더 큰 문제는 청사 이전 후 남게 될 부지 활용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이 아직 없다는 점이다. 이전만 강조하다가는 원도심 공동화와 상권 침체라는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다.
다행히 지난 9일, 국회에서 김현정 국회의원실 주관으로 「평택시청 이전부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국토연구원 이승욱 센터장은 행정·문화·상업 기능이 결합된 복합 공익시설 조성을 제안했고, 토론자들은 앵커시설이나 앵커기업유치 등을 통한 원도심의 종합적 활성화 방안 모색의 필요성과 도시재생사업 등 국비확보를 위한 공모방식의 지역특화재생 사업 등의 제안이 있었다.
필자는 과거 경기도 기획조정실장으로 재직하며, 지금은 대한민국 대통령인 당시 이재명 경기도지사, 전임 남경필 지사 등과 함께 팔달구에 있던 청사를 팔달구에서 광교로의 경기도청 이전 계획 수립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그 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토대로 평택시청 이전에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네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이전 부지에 대한 활용계획수립에 있어서 시민 참여와 공감대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시청과 시의회, 전문가뿐 아니라 청사 주변 주민이 함께하는 계획만이 지속성과 정당성을 가질 수 있다. 그 이유는 시청과 정치권은 물론 시민들의 공감대가 이루어진 계획만이 생명력이 있고, 지속성이 있기 때문이다.
둘째, 도시 활력 유지가 핵심이다. 현재 시청과 연관된 공무원 등 1,000여명이 떠난다면, 그만큼의 인적·경제적 유입이 보충되지 않는 한 원도심 상권 붕괴는 불가피하고 그 경우 주변 상권이 무너지고, 장기적으로 상인들에게 큰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셋째, 청사 이전 계획에 맞춰서 정밀하게 활용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활용계획수립이 늦어져 청사가 고덕으로 이전한 후 많은 시차를 두고 대안이 마련된다면 주변 상인들은 물론 시민들의 피해가 많이 발생할 것이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넷째, 재원 조달 방식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공공투자에만 의존하지 말고 민간투자, 공모사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추진해야 한다. 사업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적률 상향 등 제도적 지원도 함께 검토할 수 있다.
이제 필요한 것은 범시민 추진위원회 구성이다. 시청·시의회·전문가·시민이 모두 참여하는 위원회를 통해 활용계획을 논의하고 실행 과정을 점검해야 한다. 그래야만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시청 이전은 단순한 건물 이동이 아니다. 이는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 시민의 삶, 평택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대한 분수령이다. 따라서 부지 활용 계획은 ‘지금 당장, 모두 함께’ 논의해야 할 필연적 과제임을 강조한다.
필자 약력: 전 경기도 기획조정실장, 전 평택시 부시장, 전 경기경제자유구역청장
#평택in뉴스 #평택인뉴스 #평택시 #평택 #최원용 #평택시청이전부지활용 #경기경제자유구역청장
- 다음글[칼럼] 평택시의회, 의원들의 공무원 향한 작은 배려...엄청난 범죄 오명으로 25.09.09